안녕하세요. 실테토 입니다.
40대인 저는 해당이 없지만, 주변에 20~30대 청년들에게 이건 꼭 가입하라고 알려주고 있는데, 얘길 하다보면 의외로 반응이 시큰둥해서 의아했습니다. 오지랖일지도 모르나 진심으로 설명해줬더니 수긍하는 것 같아서 블로그에도 남겨 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정확한 내용과 신청은 공식 사이트에서 알아보세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nfa.or.kr)
제가 하고픈 말은 이러한 정부에서 자산형성하라고 지원하는 상품은 정말 좋은 겁니다.
아래 추천대로 하고, 만기에 내 집 마련 하는 시뮬레이션까지 실행해 봅시다.
1. 최대금액 70만원까지 다 저축한다.
2. 2024년 최저임금제도 기준으로 최저 월급은 206만원이다.
아르바이트가 아닌 이상 최소 사회 초년생 월급으로 월250만원으로 시작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만약 250만원이 안되는 직종이라면 경력이 쌓여도 크게 오를 가능성이 없으니 다른 직업을 찾는 것이 추천됩니다. (단, 공무직 제외)
3. 한 직장에서 5년차면 신입사원 대비 연봉이 40%는 올라 있을 겁니다. (보통, 그렇지 않다면 이직 추천) 그렇다면 월급은 350만원 입니다. 충분히 납입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대략적으로 월급을 환산해서
1년차 250만
2년차 280만
3년차 310만
4년차 330만
5년차 350만
이렇게 늘어난다면 이상적이겠지만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생활 5년차 경력이면 월300이상은 받을 수 있을 겁니다. (받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개인 생활비를 아래 예시처럼 저축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a. 청년도약계좌에 70만원씩 5년간 납입해서 만기 5천을 받습니다.
b. 예금, 적금, 주식(적립식을 추천) 등 추가로 80만원 정도를 3% 정도 수익률로 5년간 저축하면 5천을 만들 수 있습니다.
a+b 합하면 1억 +@
이 1억의 종잣돈으로 주택담보대출 LTV 70%(+생애최초주택 우대금리)를 받아서 4억~5억 대 아파트 내집마련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1년 차 월급 250만원에서 청년도약계좌70만원+별도80만원 저축을 하면 총150만원이니
내가 쓸 수 있는 돈은 100만원 입니다. 저는 이것도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이정도는 써야겠죠?
아무튼 2,3,4,5년차 월급이 늘면 지출을 늘리지 말고 저축액(or투자액)을 늘립니다.
저축액을 늘리기 어렵다해도 청년도약계좌70만원에 더해서 최소 80만원은 더 저축을 하는 겁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5년 뒤에 4~5억대 집은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도권 외곽일 수도 있구요.
하지만 만약 나의 배우자가 될 사람도 같은 방식으로 1억을 모았다면?
그래서 결혼으로 현금성 자산을 합치고,
양가 부모님께 1.5억 정도 지원을 받는다면 (결혼 증여 비과세 한도까지) ?
더 좋은 집을 살 수 있을 것 입니다.
지금은 어림 없을 것 같아도. 이 시뮬레이션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진지하게 내 상황에 맞춰서 계획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자연스럽게 부동산 공부를 하게 될텐데
브역대신평초 (브랜드, 역세권, 대단지, 신축, 평지, 초품아) 아파트 위주로 살펴보면 100점은 아니어도 70점 이상은 받는
투자자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우리 청년들 화이팅 입니다!